사회 촉진이란 무엇일까?
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 촉진이란 무엇일까?

by Sports line 2020. 6. 28.
728x90

사회 촉진이란 무엇일까?

오늘은 사회촉진이란 무엇인지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순서는

  • 사회 촉진이란?
  • 사회촉진의 역사
  • 사회 촉진의 정의
  • 사회촉진의 사례
  • 사회 촉진에 관한 이론

사회촉진이란?

사회적 촉진은 다른 사람의 존재가 작업에 대한 사람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개념입니다. 이것은 간단한 정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많은 뉘앙스가 있는 매우 복잡한 개념입니다. 또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는 현상을 더 깊이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이론과 개발이 포함이 됩니다. 역사의 범위와 복잡성 계층을 더 잘 이해하려면 이론, 관련 개념 및 의미에 대해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회 촉진의 역사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사회 촉진은 1898년 한 연구원에서 처음 제안 되었습니다. triplett라는 사람은 아이디어에 매료되어 낚시를 하는 어린이들에게 동일한 개념을 연구하였습니다. 그 결과 40명의 아이들 중 절반이 다른 아이들과 경쟁 할 때 더 빨리 일을 했고 1/4은 더 느리게 일을 했으며 1/4은 같은 성과를 보여를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연구가 사회 촉진과 관련된 상충되는 결과를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들은 자연스럽게 오는 기본 업무의 경우 업무 수행이 촉진될 것이라고 주장을 했습니다. 그러나 지배적인 답변을 얻지 못한 복잡한 작업의 경우 성능이 향상되지 않고 손상될 수도 있다고 했습니다.


사회 촉진의 정의

사회적 촉진의 기본 정의는 다른 사람들의 실제적, 암묵적, 상상의 존재의 의해 야기된 성과의 개선을 말합니다. 사회 촉진은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공동 작업 효과 : 공동작업 효과는 다른 사람이 사용자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에서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냅니다.

2.잠재 고객 효과 : 잠재 고객 효과는 잠재 고객 앞에서 무언가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적이 더 우수함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사회적 촉진은 생리적 요인, 인지적 요인 및 정서적 요인 3가지를 포함된다고 합니다.


1.생리적 요인

생리적 요인은 더 높은 각성 수준을 말하며 사회적 촉진과 관련된 상황에서 생리적 각성으로 인한 결과를 수행하로독 유도합니다.


2.인지적 요인

인지적 요인은 사회 촉진에서 주의와 주의 산만의 역할을 의미합니다. 예시로 사람들이 당신이 하는 일을 지켜 보게되면 집중력이 높아지거나 주의가 산만해 질 수 있습니다.


3.정서적 요인

  • 마지막으로 정서적 요인은 불안과 자기표현이 사회 촉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냅니다.


사회 촉진의 사례

사회적 촉진의 사례는 공공 영역의 사람들 사이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ex) 청중을 통해 활력을 얻고 더 좋은 공연을 하는 음악가/ 배우/ 연주자 ex) 공부를 위해 집에 머무는 것보다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는 것이 더 집중력있게 한다는 것을 알게된 사례

ex) 다른 사람 앞에서 할 때 더 무거운 웨이트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역도 선수


사회 촉진에 관한 이론

  • 활성화 이론 

활성화 이론은 zajonc에 의해 제안 된 이론이며, 다른 사람들의 존재에 의해 유발되는 흥분의 결과로서 사회적 촉진을 설명합니다.

  • 평가 이해 가설

평가 이해 가설은 단순한 존재가 아닌 다른 사람들의 평가합니다.


  • 자기 발표 이론

자기 발표 이론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좋은 인상을 주고 긍정적인 자기 이미지를 유지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고 주장합니다. 쉽게 말하면, 청중이나 관객이 당신을 평가하는 것처럼 느껴질 때만 실적이 향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 사회적 오리엔테이션 이론

사회적 오리엔테이션 이론은 사회적 상황에 긍정적인 방향을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촉진을 경험하는 반면 부정적인 방향을 가진 사람들은 손상을 주장하는 이론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의 효과법칙  (0) 2020.06.30
동기부여하는 심리적 방법 5가지  (0) 2020.06.29
인지 행동 요법(CBT)이란??  (0) 2020.06.27
불안과 걱정을 극복하는 방법  (0) 2020.06.25
두려움과 불안의 차이  (0) 2020.06.24

댓글